티스토리 뷰
목차
금은 대표적인 투자 및 자산 보전 수단으로 많이 거래됩니다. 하지만 금을 사고팔 때도 세금이 부과되며, 이에 대한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금 매매 시 부과되는 세금의 기준과 신고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금 매매 시 부과되는 세금
금을 매매할 때 적용되는 세금에는 부가가치세(VAT), 양도소득세, 기타 소득세, 증여세 등이 있습니다.
(1) 부가가치세 (VAT)
부과 대상: 순도 99.99% 미만의 금 제품 (금 장신구, 금반지 등)
세율: 10%
납세 의무자: 구매자
예시)
순도 99.9%의 금반지를 100만 원에 구매하면 부가가치세 10%가 추가되어 총 110만 원을 지불해야 합니다.
면세 대상: 순도 99.99% 이상의 금(골드바, 금괴 등)은 부가가치세 면제
(2) 양도소득세
부과 대상: 금을 일정 금액 이상 양도할 경우
세율:
개인: 기본세율(6~45%) 적용
법인: 법인세 적용
예외사항:
개인이 보유한 금을 매도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양도소득세는 비과세입니다.
단, 사업자가 일정 금액 이상 금을 매도하면 양도소득세 또는 법인세 부과 가능합니다.
(3) 기타 소득세 (금 통장 거래 시)
부과 대상: 금 통장(금 ETF, KRX 금시장 등) 거래로 수익 발생 시 부과됩니다.
세율: 15.4% (기타 소득세 15% + 지방소득세 0.4%)
(4) 증여세
부과 대상: 가족 간 금 증여 시 부과됩니다.
세율: 증여 금액에 따라 10~50%
예시)
부모가 자녀에게 5,000만 원 상당의 금을 증여하면, 10~20%의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2. 금 매매 시 세금 신고 방법
금 매매로 발생한 소득을 신고하는 방법은 개인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, 법인의 경우 법인세 신고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(1)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(개인)
신고 대상: 금 매매로 연간 2,000만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경우입니다.
신고 기간: 매년 5월 1일 ~ 5월 31일
신고 방법:
국세청 홈택스 접속
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선택
기타소득 항목에서 금 매매 수익 입력
소득세 계산 후 납부
(2)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(사업자)
신고 대상: 금을 사업적으로 매매하는 사업자입니다.
신고 기간:
1기(1~6월) → 7월 25일까지 입니다.
2기(7~12월) → 다음 해 1월 25일까지 입니다.
신고 방법:
홈택스 접속
부가가치세 신고서 작성
매출/매입 내역 입력
부가가치세 납부
(3) 법인세 신고 방법 (법인)
신고 대상: 금 거래를 하는 법인입니다.
신고 기간: 매년 3월 31일까지
신고 방법:
법인세 신고서 작성
손익계산서 제출
국세청 홈택스에서 신고
3. 금 거래 시 세금 절감 방법
(1) KRX 금시장 이용
KRX 금시장에서 거래하면 부가가치세 면제 및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이 있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.
(2) 소액 거래 활용
소액으로 분할 매도하면 양도소득세 및 기타 소득세 부담 완화가 가능합니다.
(3) 장기 보유 전략
단기 매매보다는 장기적으로 금을 보유하면 세금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투자 가능합니다.